절전대책의 기본방침은 아래의 4가지로 집약할수 있습니다.
1. 운용의 최적화
- 냉각수온도설정의 저온화 하절기
- 냉각수의 온도를 저하시켜 냉동기의 효률향상이 기대됩니다.
- 온도완화폭은 2-3도 정도가 일반적입니다.
- 한여름의 외기온이 높을때는 큰 효과가 없고 야간에 효과가 큽니다.
- 냉각답의 홴동력이 커질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
- 설정변경시 열원기기 제조업체에 의뢰가 필요할수 있습니다.
- 냉온수,냉각수의 유량,압력의 적정화 동절기하절기
- 유량이나 송수압력이 필요이상으로 설정된 경우가 많습니다.
- 과거의 사용실적을 면밀히 분석하여 설정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.
- 설정변경시 자동제어 시스템설정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- 축열용량의 운용에 의한 증가동절기하절기
- 축열운전방법의 제고 동절기하절기
- 열원기, 냉각탑의 정기점검 실시 동절기하절기
- 실내온도설정 완화 동절기하절기
- 실내 혼합손실의 최소화 동절기
- 야간 브라인드, 커텐사용 장려 동절기하절기
- 특히 야간사용을 장려하여 창호의 단열성능 확보
- 거주자의 협력이 필요합니다.
- 주방용 외조기 송풍온도 적정화 동절기하절기
- 실외기에 살수 하절기
- 개별공조기의 대기전력삭감 동절기
- 일반적으로 외기온이 낮아지면 개별공조기내부의 히타가 작동하여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.
- 동절기에 사용하지 않는 기기가 있으면 전원을 차단합니다.
- 전원을 재공급한 후 재가동까지 시간이 걸릴수 있습니다.
- 공조기의 에어필터를 교환합니다. 동절기하절기
- 공조기의 에어필터를 청소합니다. 동절기하절기
- 전기실, EV기계실등의 설정온도 완화및 환기정지 동절기하절기
- 환기와 공조를 병행하고 있는 경우에 적용됩니다.
- 전기실, EV기계실의 외기냉방실시 동절기하절기
- 온수좌변기등의 사용정지동절기하절기
2. 조건의 완화
- 열원기의 출구온도(냉수,온수)를 완화 동절기하절기
- 온도완화폭은 2-3도 정도가 일반적입니다.
- 부하조건에 따라서는 열원운전대수 증가를 초래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
- 전기,가스등의 혼재하는 복수열원의 경우, 비전기계 열원을 우선운전 동절기하절기
- 운전대수제어의 변경 동절기하절기
- 열원기나 멀티패키지 에어컨의 최대용량제한을 실시 동절기하절기
- 실내 조도 완화 동절기하절기
- 창측 조명 소등, 브라인드 적정관리 동절기하절기
- 조명램프,기구의 청소 동절기하절기
- 온수좌변기의 온도 설정완화 동절기하절기
- EV의 운전대수 제한 동절기하절기
3. 범위의 한정
- 공조기기의 간격운전, 순환정지 및 변풍량유닛의 최소풍량 하향조정 동절기하절기
- 국소난방의 활용 동절기
- 넓은 공간의 실내기 운전대수를 줄입니다. 동절기하절기
- 실내기의 온도설정 리모콘의 사용을 제한 합니다. 동절기하절기
- 신선외기도입량을 삭감 동절기하절기
- 일반적으로 공조부하의 30-40%정도를 외기부하가 차지합니다.
- 실내의 공기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도입량 삭감이 필요합니다.
- 공기질은 이산화탄소농도로 확인가능하며 1,000ppm이하가 적정치입니다.
- 주차장의 환기운전의 간격화 동절기하절기
4. 부하 평준화
*참고/인용문헌
1) 일본공기조화위생공학회HP
절전대책의 추가및 내용을 계속해서 보완해 나가고 있습니다.
최근 업데이트 일자 2012년 1월 7일